"날파리 같은 것이 눈앞에 있는데 손에 잡히질 않아요"
나이가 들면서 이러한 호소를 하는 분이 많아지는데, 이와 같이 눈앞에서 작은 물체가 떠 다니는 것처럼 보이고, 특히 맑은 하늘이나 흰 벽, 하얀 종이를 배경으로 볼때 더욱 뚜렷하게 보입니다.
숫자도 여러개일수 있고 형태도 여러가지 모양으로 나타납니다.
까만 점, 실, 아지랑이, 파리나 곤충같은 모양, 거미줄, 먼지, 중심이 밝은공, 막대 모양등의 검은 그림자가 움직이는 것이 보이며 안구운동에 따라 움직이나 안구가 정지되면 그 전 위치로 복귀합니다. 이러한 것을 흔히 모기가 떠 다닌다하여 비문증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비문증은 둥근 공과 같은 우리 눈의 모양을 유지시켜주는 젤리모양의 투명한 액체인 유리체의 투명성이 상실되어 혼탁이 생기면,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빛에 의해 부유물에 의한 그림자가 망막에 투영되어 나타나는 것입니다. 비문증은 특별한 원인없이 자연 발생적이며 정상안에서도 생리적으로 나타나기도 하며, 나이가 많아지면서 더욱 잘 생깁니다. 특히 근시가 있는 경우, 백내장 수술 후에는 대개 나타나며, 후유리체 박리때도 발생합니다.
후유리체 박리는 노인에게 많은 것으로 망막에 붙어 있던 유리체가 앞으로 이동되어 떨어져 나오면서 둥근 고리같은 혼탁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생리적 혼탁외에도 가벼운 유리체의 출혈이나 망막박리, 포도막염때에도 나타납니다.
비문증 자체는 대개 시력장애를 나타내지 않지만 예민한 사람은 자각적으로 큰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그러나 눈앞에 떠 다니는 물체를 인위적으로 제거할 수는 없습니다.
눈앞에 나타나 불편할 때에는 잠시 다른 곳을 쳐다 보았다가 다시 주시하거나 눈을 감았다가 뜨면 일시적으로 시선에서 사라질 수 있으며, 가장 좋은 방법은 떠 다니는 것을 무시하고 잊어버리는 것 뿐입니다.
따라서 시일이 경과하여 혼탁이 없어지거나 적응이 될때까지 심리적으로 불안해하지 않도록 해 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떠다니는 물체가 여러달 동안 변화가 없다면 큰 문제가 없지만, 크기가 커지거나 숫자가 갑자기 많아져서 시력장애가 나타나면 곧 안과의사의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특히 떠 다니는 물체의 숫자가 많아짐과 동시에 눈속에서 번갯불이 번쩍이는 현상을 느끼면 이는 망막박리의 초기 증상일 수도 있으므로 안과의사의 진찰과 더불어 약물이나 수술등의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눈 속에서 번갯불이 번쩍이는 현상은 편두통이 있거나 또는 나이가 많아지면서생길수도 있으므로 이 증상만으로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