義眼 Artificial eyes/수술과착용시기

움직이는 의안 수술과착용시기

MacGyver 2009. 1. 30. 23:01

1. 움직이는 의안 수술이란 ? 

과거에는 눈을 제거하고 유리나 실리콘으로 눈을 제거한 부위에 삽입하는 수술을 시행하였다. 그러나 우리 몸의 뼈와 거의 유사한 산호로 만든 Hydroxyapatite(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이하 HA)가 개발이 되면서 1990년대 초반부터 이것을 삽입하는 것이 보편화 되고. 과거에 의안이 움직이지 않던 것을 움직일 수 있도록 할 수 있게 되었다. 

    

2. 모든 사람에서 가능한가 ?

거의 모든 환자에서 수술이 가능하다. 그러나 눈을 너무 심하게 다쳐서 수술후 의안을 착용하기가 어려울것으로 생각되는 환자, 눈을 움직이는 근육이 손상되어 수술후 의안의 움직임을 기대하기 어려운 환자에서는 수술의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렵다. 

3. 수술의 경과 

1차 수술 먼저 안구를 제거하고 HA를 삽입하고 눈의 근육을 붙이고. 수술 후 약 1달후에 임시 의안을 하며. HA내로 혈관이 자라들어 가는데 약 6개월이 소요된다. 수술 6개월후 특수검사(골주사검사)를 시행하여 혈관 형성이 확인후, 2차 수술을 하고 임시 peg 을 넣는다. 약 1달 후에 완전한 peg 으로 교체하여 삽입하고 의안을 peg 과 맞도록 완전하게 교정하면 모든 치료가 끝이 나게된다. 

    

4. 수술후 합병증

일반적인 수술의 합병증외에 HA가 노출이 되는 합병증이 가장 문제가 되고. 그러나 최근에는 수술환자의 약 3% 미만이고, 노출되더라도 수술로서 치료가 가능하다. 염증으로 눈꼽이 많이 끼는 현상은 의안착용 환자에게서는 경미하게는 대부분 나타나나 환자에 따라서는 많이 생기는 분도 있으며. 안약으로 염증치료 및 의안관리를 잘 하면 호전된다. 그 외 peg 삽입 후 peg 의 노출, 빠지는 경우와 의안의 자극으로 인한 육아종의 형성 등이 있으나 교정 수술이 가능하다. 

    

5. 의안의 관리 

눈속에 삽입하는 의안은 이물질 이므로 자극을 유발하여 염증이 생길 수 있다. 적절한 약물 치료와 의안관리가 필요하며. 잘때는 의안을 빼 두거나, 의안 소독제로 의안을 딱아주는 것이 필수다. 물론 의안을 맞춘지 오래 지나 의안의 광택이 없어지거나 색깔의 변화가 오면 의안도 새로 해 주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2~3년 마다 교체가 필요하다고 본다.

 

 

>>>안구척출술 동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