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소안구/선천성소안구증

선천성소안구증 착용 시기

MacGyver 2007. 12. 18. 23:54

 

어린이의 경우, 가능한 일찍부터 착안하는 것이 좋다. 만일 서두르지 않으면 눈꺼풀과 눈 주위의 골격이 발육되지 않아 한쪽 얼굴이 기울어지는 현상이 생기며, 성인이 된 다음에 착안 하더라도 건강한 눈과 차이가 생길 수 있다.

그리고 빠른시일내에 의안을 착용하지 않았다 하더라도 성인이되어서도 소안구증의 눈에 의안을 착용하여 여러차례 의안을 크게하여 안와를 조금씩 널려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럴때주의 해야할 점은 한번에 의안을 너무크게 해서는 않되며 조금씩 조금씩 키워나가야 한다.

한꺼번에 의안을 너무 크게하여 착용하게되면 안와변형과 눈까풀처짐 속눈섭이 말려덜어가는 등 여러가지 부작용이 생길수 있다 .

또한, 의안 삽입을 위한 수술 후 1개월이 지나 안질환과 자극 증상이 없음을 확인한 뒤 의안을 착안해야 한다. 그러나 수술 후 오랫동안 의안을 끼지않고 방치해
두면 눈 내부가 위축되어 의안 착안이 어려울 수 있으며,착안할 수 있다 해도 외관상 자연스럽고 미려한 아름다움을 유지할 수 없다.

 

 

 유아의경우 의안착용자의 협조가  되지않기 때문에 안구의 모형을 잡기가 매우어렵기 때문에 의안제작자의 숙련된 테크닉이 필요하다.

 

선천성 소안구증의 사례에서는 일반의안 착용자(즉 안구적출술, 또는 초박형의안 기타)와는 전혀다른 부분이 많다할수있다

선천성 소안구증도 아주어릴때부터(유아기) 의안을 착용시켜서 착용자의 성장과정에 따라 안와도 같이 성장된 상태라면 별다른문제가 않되겠지만 그렇지않고 만약 성인이 되어서 의안을 착용되었다면 안와가 좁아져서 좌우비대칭이 되어서 의안을 착용하더라도 하루아침에 양안눈모양이 같아질수없다.
이런경우 많은 시간을 두고 안와를 확장시켜야 하고 여러차례의안을 해야할수도 있고 또는 몇년동안 눈을 관찰하며 눈모양을 만들어가야 한다.

예를 들자면 선천성소안구로 의안을 착용하지않고 26세때 까지 그냥있다가 어느날 의안을 하였을때 많은 시간과 인내가 필요할것이다.
위에서 언급했듯이 안와를 확장시키는 것이 순조롭지는 않다는것이다.

특히 의안제작하는곳이 집가까운 곳이라면 좋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시간과 비용부담이 많이 들것이다.
여유가 된다면 의안을 한개더하는것도 많은 도움이 될것이다.

의안을 수정할때 하루 빼놓아야 하고 안대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없앨수 있기 때문이다.